[정의와 원인] : 기립성 저혈압이란 갑자기 일어났을 때 순간적으로 핑 도는 증상을 겪는 경우를 말하는데요. 정상인은 갑자기 일어났을때 몸의 자율신경계가 정상적으로 반응하여 혈압이 저하되지 않고 유지된다고 합니다. 이러한 기립성 저혈압이 일어나는 경우는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도 있으며, 항고혈압제나 정신질환 치료제 등의 약물에 의해서 발생하기도 하는데요. 당뇨병, 만성 알콜 중독증과 같은 만성질환에 의해서 나타날 수 도 있다고 합니다.
[증상] : 기립성 저혈압은 갑자기 일어날 때 발생하고, 다시 누우면 가라앉는데요. 뇌질환이 동반된 경우는 원인 질환의 소견이 나타나지만, 원인 질환이 없이 발생한 경우에는 대게 두통이나 목이 뻣뻣해지는 증상, 전신의 무력감, 어지러움증, 현기증, 소변이나 대변이 마려운 느낌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치료] : 기립성 저혈압은 증상이 있을때 모두 치료하지 않고 원인 질환에 대해 검사를 한 후 이것을 유발한 원인을 찾는데요. 부작용을 유발하는 약물을 찾아서 조정하고 필요할 경우에는 수액이나 저혈압 방지 약물을 투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방방법과 생활습관] : 갑작스럽게 일어날때 증상이 심해지므로 갑자기 일어나는 것을 천천히 움직이고, 쉬어주면서 일어나는 것이 좋습니다. 장시간 서있어야 하는 경우에는 다리 정맥혈의 정체를 막기 위해서 압박 스타킹을 착용하면 도움이 됩니다. 또한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적절하게 염분을 섭취하며, 금주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떠한 약물을 복용한 후 기립성 저혈압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담당 의사와 약물에 대해 상의를 하고, 증상이 호전되지 않을 경우, 담당 의사와 상의 후 저혈압 방지를 위해서 약물 복용 여부를 결정합니다.
[진단과 검사 방법]
혈압검사 :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안정된 혈압을 측정하고 환자를 바로 일어나게 하여 1분 간격으로 혈압을 측정해서 3분 이내에 수축기 혈압이 20mmHg, 이완기 혈압이 10mmHg 이상 떨어지는지 검사를 합니다.
기립경 검사 :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천천히 일으켜 올리면서 맥박과 혈압의 변화를 검사하고, 약물을 투여한 후에 반복하여 증상을 관찰합니다.
참고 [네이버 지식백과]
2021.06.11 - [건강/건강 상식] - [고혈압] 혈압분류표 및 고혈압에 대한 궁금증
2021.06.24 - [건강/코로나19] - 코로나 증상 순서/ 감기와의 차이/ 접종 주의점
2021.06.01 - [건강/코로나19] - 혈관 속 시한폭탄이라 불리는 <혈전증> : 코로나 백신 부작용
'건강 > 건강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번아웃 증후군 : 직장인의 우울증...홍석천,쌈디 등 고충 (0) | 2021.07.01 |
---|---|
자궁경부암 : 자궁경부의 악성종양 / 정의, 원인 등 정리 (0) | 2021.06.30 |
냉방병 : 여름철 단골 증상 (0) | 2021.06.21 |
[고혈압] 혈압분류표 및 고혈압에 대한 궁금증 (0) | 2021.06.11 |
과민성 대장 증후군 : 제 2의 뇌 '장' 건강이 위험하다! (0) | 2021.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