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소판 감소증의 정의]
혈액의 응고와 지혈을 담당하는 혈액 내 성분인 혈소판의 수가 감소하는 현상을 말하는데요. 정상적으로 혈액 내에는 1㎕(microliter)당 130,000~400,000개의 혈소판이 존재하며, 이보다 혈소판 수치가 감소한 경우를 혈소판 감소증이라 합니다.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30대 사망, 백신 연관성 공식 인정]
정부가 아스트라제네카(AZ)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혈소판 감소증을 동반한 혈전 증후군(TTS)으로 사망한 30대 남성 사례에 대해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을 공식 인정했습니다. 국내에서 접종 부작용으로 TTS가 발생한 두번째 사례이며, TTS로 인한 사망은 처음입니다.
이 환자는 지난달 27일 AZ 잔여 백신을 맞고, 지난 5일(접종 9일 후) 심한 두통과 구토로 의료기관 진료를 받았으나 증상이 나아지지 않았는데요. 8일(접종 12일 후) 의식저하까지 나타나면서 상급병원을 찾아 치료를 받았지만 끝내 숨지게 되는 안타까운 상황이 발생하였습니다.
박영준 추진단 이상반응조사팀장은 “두통과 구토라는 비특이적인 증상으로 인해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을 의심하는 부분이 지연되지 않았을까 하는 안타까움이 있다”며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조기에 진료와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안내하고, 누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시스템도 보완하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이미지 : 질병관리청
2021.06.01 - [건강/코로나19] - 혈관 속 시한폭탄이라 불리는 <혈전증> : 코로나 백신 부작용
혈관 속 시한폭탄이라 불리는 <혈전증> : 코로나 백신 부작용
[정의] 혈전이란 혈관 속에서 피가 굳어진 덩어리를 말하며, 혈전증이란 혈전에 의해 혈관이 막혀 발생되는 질환을 말합니다. 혈전증은 혈전색전증이라는 말과 같으며, 우리 몸은 정상 상태에서
deer-pen.tistory.com
[혈소판 감소증의 원인과 증상]
원인
-골수에서 혈소판의 형성이 감소
-비장 같은 특정 기관에 혈소판이 포획
-혈소판의 파괴 속도가 증가
-사용하는 약물에 의한 일시적인 현상
-세균성 혹은 바이러스성 감염
-간경화
-항암제로 인한 골수 억제
-특발성 혈소판 감소증
-급성 백혈병
-재생 불량성 빈혈
증상
일반적으로 경도의 혈소판 감소증이 있을 때는 별다른 증상이 생기지 않지만, 정도가 심해질수록 출혈 경향이 증가하여 양치질할 때 잇몸에서 출혈이 발생하거나 피부에 멍이 잘 들 수 있습니다. 20,000/㎕ 이하로 감소하면 외상이 없이도 주요 장기에 출혈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 및 주의사항]
치료
치료는 원인 질환이나 감소증의 정도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요. 간경화에 의한 혈소판 감소증은 일반적으로 별다른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바이러스나 세균성 감염에 의한 경우에는 감염이 치료되면 혈소판 감소증도 호전됩니다. 복용 중인 약물에 의한 일시적인 증상이거나, 항암제 치료 후에 발생한 경우라면 약제를 중단한 뒤 저절로 회복됩니다.
특발성 혈소판 감소증에 의한 것이라면 스테로이드 등의 면역 억제제를 우선적으로 사용하며, 면역억제제의 효과가 좋지 않을 경우 면역글로불린 같은 다른 약제를 사용하거나 수술적 방법으로 비장절제술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급성 백혈병이나 재생불량성 빈혈 등 골수의 질병에 의한 경우에는 원인 질환에 맞는 항암제 치료나 면역 억제 치료가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 완치를 위해 조혈모세포 이식(골수 이식)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주의사항
외상에 의한 출혈의 위험성이 증가하므로, 외상에 주의해야 합니다.
참고[네이버 지식백과] 혈소판 감소증 [thrombocytopenia]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 병원), 경향신문
2021.06.25 - [건강/코로나19] - 심근염 : 화이자, 모더나 백신접종시 우려/ 심근염 정의,원인 등
2021.06.24 - [건강/코로나19] - 델타 변이 바이러스 / 우려 변이 총 정리
2021.06.24 - [건강/코로나19] - 코로나 증상 순서/ 감기와의 차이/ 접종 주의점
2021.06.22 - [건강/코로나19] - 얀센 백신 부작용 총 정리
2021.06.22 - [건강/코로나19] - 50대 40대 백신접종시기 및 예약
2021.06.09 - [건강/코로나19] - 두드러기 : 부어오름, 가려움 증상의 피부질환/코로나 백신 부작용
2021.06.04 - [건강/코로나19] - 아나필락시스 : 코로나 백신 부작용 및 알레르기 쇼크
2021.06.01 - [건강/코로나19] - 얀센 백신 접종 정보 총정리 : 1회 접종에 백신 접종 완료 가능
'건강 > 코로나19'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월 첫째주] 장마 현황/ 코로나 현황 (0) | 2021.07.05 |
---|---|
타이레놀 복용 방법/ 백신 접종시 주의 사항 (0) | 2021.06.28 |
심근염 : 화이자, 모더나 백신접종시 우려/ 심근염 정의,원인 등 (0) | 2021.06.25 |
델타 변이 바이러스 / 우려 변이 총 정리 (0) | 2021.06.24 |
코로나 증상 순서/ 감기와의 차이/ 접종 주의점 (0) | 2021.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