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 단시간 동안 작용하는 정맥으로 투여되는 전신마취제로, 수술이나 검사 시 마취를 위해 사용되거나,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를 진정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프로포폴은 하얀색 액체 형태로 되어 있어서 우유주사라는 별명이 있으며, 다른 마취제들과 달리 빠르게 회복되고 부작용이 적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오남용 시 중독될 수 있으므로 숙련된 의료전문가의 지도 하에 사용되어야 합니다.

 

 

 


 
[효능, 효과] : 성인과 3세 이상 소아의 전신마취 유도와 유지, 인공호흡 중인 중환자의 진정, 수술과 진단 시에 의식하 진정에 사용됩니다.

*의식하 진정 : 의식 상태가 약간 저하되어 있는 상태로 외부의 도움 없이 자발적으로 호흡이 가능하고, 질문이나 외부의 물리적 자극에 적절히 반응할 수 있는 얕은 진정을 의미합니다.

 

 

 

 


[마취효과 발현 시간] : 프로포폴은 투여 후 평균 30초 정도 후에 마취 작용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용량에 따라 다르지만 3~10분 정도로 짧게 작용이 지속됩니다. 그러나 중환자실에서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프로포폴이 조직에 축적되면서 계속해서 혈중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투약을 중단해도 깨어나는 데 시간이 더 오래 걸리게 됩니다. 간을 통해 대사 되며 소변으로 대부분 배설되기 때문에 간이나 신장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용법] : 프로포폴은 정맥으로 주사하며, 숙련된 의료전문가에 의해 투여되어야 합니다. 사용 목적, 환자의 상태에 따라 투여 용량이 달라질 수 있으며, 전신마취를 위해서는 55세 미만 성인의 경우 통상 10초마다 프로포폴로서 40 mg을 정맥 또는 점적 정맥 주사합니다.


 

 

 

[금기사항] : 마취를 목적으로 3세 미만 소아에게 투여하지 않으며, 진정 목적으로 소아에게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임부,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 수유부에게는 투여하지 않아야 합니다. 원료의약품 중 대두유 함유 제품의 경우, 콩이나 땅콩에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에게는 투여하지 않아야 합니다.

 

 


 
[주의사항] : 드물지만 과민반응,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 혈관부종, 기관지 경련, 홍반과 같은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 성분은 대두유를 원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콩이나 땅콩에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발작 병력이 있는 경우, 심장이나 폐, 신장, 간에 이상이 있는 경우, 약물 의존의 병력이 있는 경우에는 신중히 사용되어야 합니다. 또한 간질이나 발작 병력이 있었던 사람은 프로포폴 투여 후 회복기 동안 발작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신중히 사용되어야 합니다.

 

프로포폴을 투여하기 전후 8시간 동안에는 알코올의 섭취를 피해야 합니다. 흡입마취제는 프로포폴의 마취, 진정 또는 심장, 호흡기계에 대한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강력한 흡입마취제(이소플루란, 엔 플루란 등)와 함께 투여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프로포폴 투여를 갑자기 중단할 경우 급격한 각성, 불안, 흥분 등의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인공호흡에도 저항성을 보일 수 있으므로 주입 속도를 조절하며 환자가 서서히 깨어나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장기간 주입 시에는 내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금단증상을 방지하기 위해 서서히 감량해야 합니다.


 

2021.06.04 - [건강/코로나19] - 아나필락시스 : 코로나 백신 부작용 및 알레르기 쇼크

 

아나필락시스 : 코로나 백신 부작용 및 알레르기 쇼크

현재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코로나 백신 부작용 중의 하나인 아나필락시스란 무엇일까요? 봄철에 찾아오는 무서운 손님 일명 알레르기 쇼크로 유명하기도 한 아나필락시스에 대해서 함

deer-pen.tistory.com

 

 

 


 
[부작] : 로포폴 투여 시 발생 가능한 주요 부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부작용이 발생하면 의사, 약사 등 전문가에게 알려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흔한 부작용(사용자의 10% 이상에서 보고)
• 심혈관계: 저혈압
• 중추신경계: 불수의적 신체 운동
• 국소: 주사 부위에 타는듯한 감각, 주사 부위 통증
• 호흡기계: 무호흡
 
-일반적 부작용(사용자의 1~10%에서 보고)
• 심혈관계: 고혈압, 서맥(느린 맥박), 심부정맥, 낮은 심박 출, 빈맥(빠른 맥박)
• 피부: 피부발진, 가려움증
 
-드문 부작용(용자의 1% 미만에서 보고)
정맥 부종, 발적 또는 혈전 등
 

 

 
[프로포폴이 중독성을 나타내는 이유] :  프로포폴에 중독되는 이유는 도파민(dopamine)* 때문인데요. 프로포폴은 뇌의 측좌핵 부위에서 도파민 농도를 증가시키는데, 이 부위는 보상체계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그 결과 섭취한 물질의 양에 대해 내성을 나타내게 되며, 이러한 반응은 알코올이나 다른 약물 중독자들에서도 일반적으로 관찰됩니다.
 
통증이 덜한 시술의 경우, 프로포폴을 투약한 후 깨어나게 되면 환자는 통증은 느끼지 않으면서 개운하게 잘 잤다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느낌으로는 보통의 사람들은 약물에 관심을 갖거나 빠져들 가능성이 적지만, 약물 의존성이 생기기 쉬운 사람의 경우에는 프로포폴을 반복적으로 사용했을 때 중독자가 될 수 있습니다.

 

프로포폴의 오남용 및 중독 사례가 이어지면서 2011년 국내에서 마약류의 하나인 향정신성의약품으로 분류되었으며, 프로포폴의 경우 쾌감을 느끼는 용량과 독성이 나타나는 용량 간에 차이가 매우 적기 때문에 의료전문가의 지도 하에 적정 용량의 프로포폴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도파민(dopamine): 중추신경계에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의 하나로 행동, 동기 부여, 수면, 기분, 인식, 학습, 주의 등에 영향을 미친다.

 

참고 [네이버 지식백과] 

 

 

2021.06.24 - [건강/코로나19] - 코로나 증상 순서/ 감기와의 차이/ 접종 주의점

 

2021.06.09 - [건강/코로나19] - 두드러기 : 부어오름, 가려움 증상의 피부질환/코로나 백신 부작용

 

2021.06.01 - [건강/코로나19] - 혈관 속 시한폭탄이라 불리는 <혈전증> : 코로나 백신 부작용

 

 

 

 

 

 

 

 

 

 

 

 

 

 

[정의] :  분비샘 중 짜이스 샘, 몰 샘에 생긴 급성 화농성 염증을 겉 다래끼라고 하며, 마이봄샘의 급성 화농성 염증을 속다래끼(맥립종)라고 합니다. 마이봄샘에 생긴 만성 육아종성 염증은 콩다래끼(산립종)라고 부릅니다.

 

 

 

 

 

[원인] : 눈꺼풀의 분비샘은 눈물의 증발을 막아주는 기름 성분을 만들고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데요. 배출이 지연되면서 기름 성분이 쌓이면서 분비샘에 염증이 생기고, 여기에 세균 감염이 함께 발생할 경우 겉 다래끼 또는 속 다래끼가 되며 주로 포도상구균에 의해 잘 감염됩니다. 콩다래끼는 세균 감염이 동반되지 않고 배출되지 않은 기름 성분에 의한 만성적인 육아종성 염증반응에 의해 발생합니다.

 

 

 

[증상] : 겉다래끼와 속 다래끼는 급성 세균 감염에 의한 것이므로 발적과 통증이 상대적으로 심하며 피하 또는 결막하에 농양이 형성됩니다. 겉 다래끼는 눈꺼풀의 가장자리가 부으면서 통증이 생기고 해당 부위가 단단해져 압통이 심해지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염증에 의한 물질들이 피부로 배출됩니다. 속다래끼는 겉 다래끼보다 깊이 위치하며, 결막(눈꺼풀을 뒤집으면 보이는 빨간 점막 조직) 면에 노란 농양점이 나타납니다. 콩다래끼는 눈꺼풀 가장자리 피부 밑에서 단단한 결절이 만져질 수 있으며 발적이나 통증 등의 증상은 경하거나 없습니다.

 

 

 

 

 

 

[진단과 검사] :  붓거나 통증을 동반한 눈꺼풀 가장자리의 결절이 있는 경우 눈다래끼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양안 상-하안검을 모두 만져보고 서로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지, 만졌을 때 통증이 심해지는지 확인해봅니다. 눈꺼풀을 뒤집어 눈꺼풀 결막을 관찰하였을 때 노란 농양점이 나타나면 속 다래끼로 진단할 수 있고, 콩다래끼는 결절이 만져지지만 발적이나 통증 등의 증상은 경하거나 없을 때 진단할 수 있으며, 드물게 악성 종양 등 다른 질환과 감별을 위해 병리검사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치료] : 시간이 지나면서 저절로 좋아지지만 증상 완화를 위해 더운 찜질, 항생제 안약 및 안연고 점안, 항생제 복용 등을 할 수 있습니다. 눈에 항생제 성분이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도달하기 위해서는 약으로 먹는 항생제보다는 생제 안약을 직접 점안하는 것이 좋으며, 농양이 형성되어 저절로 배농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절개하여 배농시킵니다.

콩다래끼는 크기가 작고 무증상적일 경우 별다른 치료 없이 경과 관찰도 가능하지만, 크기가 크거나 염증이 동반되면 치료가 필요하며 더운 찜질, 항염증 성분이 포함된 안약 및 안연고 점안 등의 보존적인 치료를 해볼 수 있습니다. 빠르고 확실한 효과를 원할 경우 절개 후 내용물을 긁어내는 시술로 치료할 수 있으며 병변에 스테로이드를 소량 주사하는 시술도 치료 효과가 있습니다.

 

 

 

 

 

 

 

[경과와 합병증] : 대부분의 경우 저절로 좋아지나 겉 다래끼 혹은 속 다래끼가 적절하게 치료되지 않을 경우 주변 조직으로 감염이 확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터지거나 절개하여 내용물이 제거되면 더욱 빨리 낫는데, 배농 되거나 절개한 위치에 따라 피부 또는 결막에 흉터가 남을 수 있습니다. 치료하지 않은 작은 콩다래끼가 계속 남아 있다가 음주나 과로 등의 요인으로 인해 커지면서 염증이 재발할 수 있습니다.

 

 

 

[예방법] : 평소에 항상 손을 깨끗이 하고 눈을 함부로 만지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눈을 만져야 할 경우에는 손을 깨끗이 씻은 후에 만지도록 합니다. 자주 콩다래끼가 재발하는 경우 눈꺼풀 분비샘의 기름 배출을 돕기 위해 눈꺼풀을 청소하는 약제를 사용해볼 수 있습니다.

 

 

 

참고 [네이버 지식백과]

 

 

2021.05.26 - [건강/건강 상식] - 눈에 좋은 음식 Vs. 눈에 해로운 음식

 

2021.06.24 - [건강/코로나19] - 코로나 증상 순서/ 감기와의 차이/ 접종 주의점

 

2021.06.09 - [건강/코로나19] - 두드러기 : 부어오름, 가려움 증상의 피부질환/코로나 백신 부작용

 

2021.06.04 - [건강/코로나19] - 아나필락시스 : 코로나 백신 부작용 및 알레르기 쇼크

 

2021.06.01 - [건강/코로나19] - 혈관 속 시한폭탄이라 불리는 <혈전증> : 코로나 백신 부작용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