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여름에 환기가 어려운 밀폐된 공간에서 냉방이 계속될 때 가벼운 감기, 몸살, 권태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는 여러 질환군을 총칭하는 증후군의 일종입니다.

 

 

 

 

 

[원인]

 

-상기도 감염 증상


상기도 감염 (감기를 일으키는 바이러스) 중 일부는 여름에도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실내 기온을 외부 기온보다 낮게 유지하는 여름에 바이러스가 활성화된 일부 감기 환자는 다른 사람들에 비해 냉방된 실내 환경을 더 힘들게 느낄 수 있으며, 두통, 목 통증, 콧물, 전신 위약감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레지오넬라증


에어컨의 냉각수나 공기가 세균들로 오염되어서 이 세균들이 냉방기를 통해서 빌딩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감염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이 세균을 '레지오넬라(Legionella)'라고 하며, 일종의 감염성 질환입니다. 이 균은 냉방기 내에서 잘 서식하고, 같은 냉방기를 사용하는 건물 전체에 퍼지며 특히 허약자나 면역 기능이 약화된 사람에서 주로 감염됩니다.

-밀폐 건물 증후군

 

시원한 실내 온도를 유지하게 위해서 환기를 제대로 하지 않을 때 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두통을 호소하며 눈, 코, 목 등이 건조해져 따갑거나 아픈 증상이 나타납니다. 가슴이 답답하고 어지럽거나 피로감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반드시 환기를 통해 화학성분을 외부로 내보내야만 빌딩증후군의 원인이 사라질 수 있습니다. 

 

 

 

 

 

 

[증상]

 

-호흡기 증상 : 감기와 증상이 비슷하며, 두통이나 콧물, 재채기, 코막힘의 증상을 주로 호소합니다. 몸이 나른하고 쉽게 피로해지고 두통이 흔하며, 손발이 붓거나 어깨와 팔다리가 무겁고, 허리나 무릎, 발목 등의 관절이 무겁게 느껴지며 심할 때는 통증이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위장 장애 : 소화 불량과 하복부 불쾌감이 있고, 심하면 설사를 하기도 합니다.

-여성의 추가 증상 : 여성은 남성보다 냉방병에 취약하여 생리가 불규칙해지거나 생리통이 심해지기도 합니다.

-만성 질병의 악화 : 이미 만성 질병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면역 기능이 떨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냉방병의 영향이 더 심할 수 있습니다.

 

 

 

 

[치료와 합병증]

 

치료 : 실내 환경을 개선하고 감기가 호전되면 냉방병의 증상은 대부분 좋아집니다. 그러나 증상이 심하여 일상 생활이 불편할 경우라면 각각의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약물 치료를 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예를 들면 콧물, 코막힘, 재채기, 소화불량, 설사 등과 같은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내과 또는 가정의학과의 진료 후 약물치료를 병행하면서 반드시 실내 환경을 개선해야 합니다.

 

 

합병증 : 지나친 냉방상태에 오래 방치될 경우 기침, 고열, 근육통, 심하면 폐렴도 생길 수 있습니다.

 

 

 

 

 

[예방방법]

 

-냉방시 춥게 느낄 정도의 지나친 냉방을 피하고, 사람이 적은 방향으로 에어컨 송풍 방향을 맞춘다.
-에어컨의 찬 공기가 직접 몸에 닿지 않도록 하고, 긴 소매의 덧옷을 준비한다.
-에어컨은 1시간 가동 후 30분 정도 정지한다.
-적어도 2∼4시간마다 5분 이상, 창문을 열어 실내외 공기를 환기시키는 것이 좋다.
-자주 외부에 나가 바깥 공기를 쏘인다.
-에어컨은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며, 필터는 최소한 2주에 한 번씩은 청소한다.
-혈액순환을 돕기 위해 맨손 체조나 가벼운 근육 운동을 수시로 하고, 자세를 자주 바꾸어준다.
-찬물이나 찬 음식을 너무 많이, 자주 마시지 않는다.
-잠잘 때는 배를 따뜻하게 덮고 잔다.
-과음하지 않는다.
-매일 가벼운 운동으로 적당히 땀을 흘리고 샤워한다.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한다. 실내의 온도는 대체로 22~26℃ 사이가 적정하다. 처음에는 낮추었다가 서서히 올리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생활 가이드]

 

냉방병의 증상이 있을 때에는 몸을 따뜻하게 하고 충분히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냉방병은 무엇보다 예방이 가장 중요한데요. 우선 지나친 냉방을 피하고, 과로를 하지 않는 등 몸의 면역력 유지에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한두 시간마다 정기적으로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것, 그리고 몸에 한기를 느낄 때에는 긴 소매 남방이나 카디건을 준비해 두었다가 걸쳐 입고, 따뜻한 차를 자주 마시어 몸을 따뜻하게 유지하는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평소 규칙적인 생활 습관을 가지고 꾸준한 운동을 하며, 물이나 음료를 자주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2021.06.09 - [건강/건강 상식] - 두드러기 : 부어오름, 가려움 증상의 피부질환/코로나 백신 부작용

 

2021.06.04 - [건강/건강 상식] - 아나필락시스 : 코로나 백신 부작용 및 알레르기 쇼크

 

2021.06.01 - [건강/건강 상식] - 혈관 속 시한폭탄이라 불리는 <혈전증> : 코로나 백신 부작용

 

 

 

 

 

 

 

[혈압 분류표]

 

혈압분류    수축기 혈압(mmHg)   이완기 혈압(mmHg)
정상 120 미만 그리고 80 미만
고혈압 전단계 120~139 또는 80~89
1단계 고혈압 140~159 또는  90~99
2단계 고혈압 160 이상  또는 100 이상

 

 

정상 혈압 : 120/80(수축기/이완기)mmHg 이하,

수축기 혈압이 120mmHg 미만이면서 이완기 혈압이 80mmHg 미만

 

고혈압 : 140/90mmHg 이상,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일 때

 

저혈압 : 90/60mmHg 이하,

수축기 혈압 (최고혈압)이 100mmHg보다 낮을 경우

 

고혈압 전 단계 : 정상 혈압과 고혈압 사이


120/80mmHg 이상의 혈압을 가진 사람은 120/80mmHg 미만인 사람보다 합병증의 발생빈도가 높고 고혈압으로 진행할 위험성이 높아 혈압이 더 높아지기 전에 관리를 해야 합니다.

 

 

 

 

[혈압에 관한 여러 가지 궁금증들]

 

-고혈압약 먹기 시작하면 평생 먹어야 하나?

 

약을 끊으면 혈압이 다시 상승하므로 원칙적으로는 평생 꾸준히 약을 복용해야 합니다. 하지만 바른생활습관으로 정상혈압이 유지된다면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의사와의 상담하에 약을 줄이거나 끊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렇지만 의사의 진찰을 꾸준히 받고 혈압이 다시 상승했을 시 약물을 다시 사용해야 합니다.

 

 

 

 

-고혈압약을 복용할 때 같이 복용하면 안 되는 약이 있나?

 

소염진통제는 복용 시 어느 정도 수분 저류가 발생해 혈압약의 작용을 방해하므로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소염진통제를 꼭 복용해야 하는 경우(관절염이 심한 경우)에는 의사와 상담 후 복용하면 됩니다.

 

 

-고혈압 진단을 받고 약을 복용하다가 고혈압 전 단계로 내려갔을 시 어떻게 관리하면 되나?

 

고혈압은 장기에 피해를 주고, 오랫동안 회복이 안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또한 체중조절, 운동, 짠 음식 삼가, 혈압약 복용 등으로 혈압을 조절하고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고혈압은 약물로 조절이 되기 때문에, 약물 치료를 계속하는 것이 좋습니다.

 

혈압 약은 특이한 부작용이 거의 없기 때문에 저혈압을 일으키는 경우가 아니면 혈압조절이 되었다고 끊으면 안 됩니다.
임의로 약을 중단했을 시, 혈압 조절에 실패할 수 있으므로 처방을 내린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혈압약을 복용하면서 기운이 없고, 어지러워 혈압이 올라갈 때만 복용해도 되나?

 

의사에게 처방받아 약을 복용 중이면, 처방대로 꾸준하게 복용하여야 합니다. 약을 복용 후 기운이 없고 어지러움 등의 증상이 보여 약 복용이 어렵다면, 약을 처방한 의사와 상담 후 다른 약으로 바꾸거나 다른 방법을 취할 수 있습니다. 임의로 약물을 복용해서는 안된다고 합니다.

 

 

참고 : 네이버 국가 건강정보 포털 건강칼럼,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 병원, 서울대학교 병원

 

 

2021.06.09 - [건강/건강상식] - 두드러기 : 부어오름, 가려움 증상의 피부질환/코로나 백신 부작용

 

2021.06.04 - [건강/건강상식] - 아나필락시스 : 코로나 백신 부작용 및 알레르기 쇼크

 

2021.06.01 - [건강/건강상식] - 혈관 속 시한폭탄이라 불리는 <혈전증> : 코로나 백신 부작용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