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들이 주식을 사고 지급일이 되면 배당금을 받는데요. 여기에서 흔히 말하는 주식배당이란 정확히 어떤것이지 여러분들은 알고 계신가요? 아래의 포스팅에서 주식배당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목차

1.주식배당 정의

2.주식배당과 무상증자의 차이점

3.주식배당의 장점

4.이익배당총액의 몇%까지 주식배당이 가능한가

5.시가기준의 배당효과를 누리는 주식배당 

 

 

 

1.주식배당(stock dividend)이란 무엇인가? 

 

회사가 자신의 주식을 산 주주들에게 배당을 하는데요. 이때 현금이 아닌 주식을 나누어 주는 것을 말합니다.

 

 

2.주식배당과 무상증자의 차이점은? 

 

-주식배당은 배당가능성이익, 즉 미처분이익잉여금을 자본금으로 전환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주식배당은 이익잉여금은 감소하고 자본금은 증가하지만 자기자본에는 변동이 없게 됩니다.

-무상증자는 자본준비금이나 이익준비금과 같은 법정준비금을 자본전입합니다.

-주주의 입장에서는 주금의 납입없이 주식수가 증가하므로 주식배당과 무상증자가 비슷합니다.

 

 

 

3.주식배당의 장점은? 

 

-회사자금을 사내에 유보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장부상 이익은 발생하였지만 신규투자 등으로 현금이 부족한 경우에도 주주들에게 배당을 줄 수 있습니다.

 

 

4.이익배당총액의 몇%까지 주식배당이 가능한가? 

 

상법에서는 이익배당총액의 50%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주식배당을 허용하고 있는데요. 상장법인 자본시장 육성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이익배당총액의 100%까지 주식배당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5.시가기준의 배당효과를 누리는 주식배당 


우리나라는 배당률을 표기할때 액면가 기준으로 적용하고 있는데요. 오늘날 대부분의 주식들이 액면가를 크게 상회하고 있어서 배당률이 같더라도 주식배당을 한 회사가 현금 배당만을 실시한 회사에 비해서 배당락의 폭이 크게 나타납니다.즉, 현금배당이 액면기준 배당인것에 비해서 주식배당은 시가기준의 배당효과가 있습니다.

 

 

참고  네이버 지식백과 한경 경제용어사전

 

 

이상으로 주식배당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았는데요. 주식용어만 하더라도 어렵고 이해하기 어려운것 투성이인데요. 저도 그렇습니다. 앞으로도 주식과 회계에 대해서 함께 공부하면서 부자가 되는 그날까지 함께 노력하기로 해요~

 

 

2021.04.12 - [금융/주식] - [주식용어] <주식>,< 코스피 vs 코스닥> / 정의와 차이점,상장조건

 

2021.04.12 - [금융/주식] - [주식용어] <공매도> 뜻/순기능과 역기능/재매수/금지 논란/<차입 공매도와 무차입 공매도>

 

2021.04.13 - [금융/주식] - [주식용어] 주식시장의 세 가지 안전장치/사이드카,서킷브레이커, VI(변동성 완화장치) /정의와 차이점

 

2021.04.15 - [금융/주식] - [주식용어] 주식 기본 용어 모음

 

 

 

 

 

 

 

 

주식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공모주와 IPO란 말에 대해서 많이들 들어 보셨을 텐데요. 또한 공모주 청약에 대해서도 들어본 적 있으실 겁니다. 정확히 공모주와 IPO는 어떤 것을 말하는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저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모주(公募株)란? 

 

일반에게 널리 투자할 사람을 구하여 발행하는 주식, 즉 기업을 공개하는 과정에서 일반인 투자자를 대상으로 매각하는 주식을 말하는데요.

 

기업이 상장하기 위해서 공개를 하면 주식을 여러 사람에게 나눠야 하므로, 일반인 투자자를 대상으로 주식을 매각합니다.

 

 

공모주의 특징은? 


-투자자에게 인기가 많음

 

-공모주가 상장되면 대게 주가가 공모가보다 높게 형성됨

 

-단기간에 높은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음

 

 

 

 

IPO란? 

 

IPO (Initial Public Offering)란 직역하면 기업공개라는 뜻으로, 기업의 주식이 상장되기 위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 바로 IPO인데요. 외부의 투자자가 공개적으로 주식을 사도록 기업측이 주식과 경영에 대한 내용을 시장에 공개하는 것을 말합니다.

 

 

IPO의 특징은? 

 

<장점>

-대규모 자금 조달이 가능해짐

 

-기업의 정보자료가 공시되므로 기업 홍보 효과가 있음

 

-엄격한 상장심사를 통과 했으므로 해당 기업의 신뢰와 평판이 상승할 수 있음

 

 

<단점>

-기업의 소유권(주식)이 시장에서 매매 대상이 되는 만큼 경영권이 분산될 위험이 있음

 

-IPO를 수개월 동안 준비하면서 많은 비용이 발생함

 

 

 

공모주 청약이란? 

 

발행된 유가 증권을 불특정 다수인에게 동일한 조건으로 매도, 매수 청약을 권유하는 공모 때 투자자가 그 주식을 사겠다고 신청하는 것을 말합니다.

 

 


공모주 청약  특징



공모주 청약은 청약자격이나 청약한도, 공모가 산정기준 등이 증권사 자율에 의해서 정해지는데요.

대부분의 증권사들은 자기 회사의 우수고객들에게는 공모자격을 부여하지만, 거래실적이 많지 않은 고객들에게는 공모 수수료를 내게 하는 등의 대우를 달리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기업공개를 많이 하는 증권사와 꾸준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공모가는 증권사들이 각자 다른 기준을 만들어 산출하고 있는데요. 5대 대형 증권사들은 발행회사와 같은 업종에 속한 종목들의 최근 주가 추이를 반영한 ‘시장가치’를 공모가를 산정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 있다고 합니다.



 

이상으로 공모주, IPO, 공모주 청약에 대한 정의와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주식이나 경제에 대한 뉴스를 들을때 자주 접했던 단어이지만 정확히 무슨 뜻인지 몰랐었던 공모주였는데요. 오늘 포스팅을 통해서 자세히 알아볼 수 있어서 유익한 시간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여러분도 유익한 시간이 되었길 바라면서 다음에 더욱 알찬 내용으로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2021.04.29 - [금융/주식] - 주식배당(stock dividend)의 모든 것

 

2021.04.12 - [금융/주식] - [주식용어] <주식>,< 코스피 vs 코스닥> / 정의와 차이점,상장조건

 

2021.04.12 - [금융/주식] - [주식용어] <공매도> 뜻/순기능과 역기능/재매수/금지 논란/<차입 공매도와 무차입 공매도>

 

2021.04.13 - [금융/주식] - [주식용어] 주식시장의 세 가지 안전장치/사이드카,서킷브레이커, VI(변동성 완화장치) /정의와 차이점

 

2021.04.15 - [금융/주식] - [주식용어] 주식 기본 용어 모음

 

2021.04.15 - [금융/주식] - [주식용어] 블루칩 옐로칩 레드칩/ 뜻 정의와 특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