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시사에 관한 뉴스를 보면 시가, 시가총액, 액면가에 대한 이야기를 자주 접하게 되는데요. 정확한 뜻이 무엇인지는 헷갈리는 분들이 많이 있으실겁니다. 오늘 포스팅은 시가와 시가총액 그리고 액면가의 정확한 정의와 특징에 대해서 준비했는데요. 함께 공부하면서 경제에 대한 상식을 넓혀 가도록 할까요?

 

 

 

 

1.시가(market price)란 무엇인가?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결정되는 물건의 가격으로 균형적인 가격을 의미합니다.

 

 

 

2.시가총액(aggregate value of listed stocks)이란?

 

전체 상장주식을 시가로 평가한 것으로 주식시장전체의 시가총액은 그 종목의 발행주식수와 주가를 곱한 값입니다. 그날 각 종목의 종가에 상장주식수를 곱해 이것을 합계하여 산출한 것이 시가총액이 되는데요. 따라서 주가가 오르면 시가총액도 커집니다. 또한 한 국가의 자본시장 규모를 보여주는 중요한 경제지표로, 특히 회사의 규모를 평가할때 사용합니다. 

 

 

 

 

3.액면가(par value)란? 

 

주권표면에 적힌 금액 (보통주, 우선주 및 사채의 표면에 기재되어있는 금액)으로 주당 5천원이 일반적이지만, 최근에는 1천원, 5백원, 1백원 등으로 액면가가 분할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액면이 분할되면 유통주식주가 그만큼 많아진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채권에서는 일반적으로 액면 이하로 발행되고 있으며 그 시세는 액면과 무관합니다. 수표와어음의 권면에 기재된 금액을 액면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4.액면가의 특징은? 

 

보통주의 경우 액면가액은 발행된 주식의 배후에 있는 현금, 자산 또는 서비스 등의 창업시의 투자를 표시하는 것인데요. 하지만 회사가 영업을 시작한 후 시간이 지나면 액면가액은 시장가격과는 관련이 없어집니다. 때문에 시간이 흐르면 보통주의 액면가액은 의미가 없어지므로 많은 회사들이 무액면주를 발행합니다.

 

양도세가 액면가에 의해서 과세될때 낮은 액면가액의 주식을 발행하는 회사도 있는데요. 우선주나 사채는 배당 또는 이자가 액면가액에 의해서 계산되므로 액면가액이 굉장히 중요하게 됩니다. 우선주나 사채의 액면가액은 보통주보다 시장가격에 가깝지만 시장가격과 같은 것은 드물며 그 차가 커질 수 도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참고 네이버 지식백과

 

 

시가와 액면가에 대한 정의와 특징에 대해서 함께 공부해봤는데요. 경제 상식에 대한 폭이 조금은 넓어졌다는걸 느끼셨다면 잘하고 계신겁니다. 다음에도 유익한 경제상식에 대해서 포스팅 준비 해오겠습니다.

 

2021.04.12 - [금융/주식] - [주식용어] <주식>,< 코스피 vs 코스닥> / 정의와 차이점,상장조건

 

2021.04.12 - [금융/주식] - [주식용어] <공매도> 뜻/순기능과 역기능/재매수/금지 논란/<차입 공매도와 무차입 공매도>

 

2021.04.13 - [금융/주식] - [주식용어] 주식시장의 세 가지 안전장치/사이드카,서킷브레이커, VI(변동성 완화장치) /정의와 차이점

 

2021.04.15 - [금융/주식] - [주식용어] 주식 기본 용어 모음

 

2021.04.15 - [금융/주식] - [주식용어] 블루칩 옐로칩 레드칩/ 뜻 정의와 특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