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근육이 수축하기 위해서는 전기가 발생해야 하는데, 심장 내에는 자발적으로 규칙적인 전기를 발생시키고 심장 전체로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전기 전달체계가 있습니다. 이런 체계의 변화나 기능부전 등에 의해 초래되는 불규칙한 심박동을 부정맥이라 합니다. 휴식 시의 성인의 정상 심박수는 분당 60~80회이며 분당 60~100회 까지를 정상 맥박이라 하는데, 부정맥은 심장 박동 수의 이상이나 율동의 이상을 의미하고 심방과 심실 어디에서나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인]

 

1. 전기전달체계 자체의 병 : 동방결절 기능 부전군

-방실결절 기능부전군(방실차단, heart block)

-비정상적 전기전달체계의 존재(Wolff-Parkinson-White 증후군)

-정상적인 전기전달체계 이외의 곳에서 발생되는 전기파(기외수축 등)

-유전적 질환

 

2. 전기전달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심장의 변화

-심근경색 등의 허혈성 심질환

-선천성 심질환

-심근증, 심장판막질환

-여러가지 약물들

 

3. 전기전달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의 변화

-고도의 스트레스

-카페인

-술, 흡연

-불충분한 수면

 

 

 

 

 

[증상]

 

증상들은 사람 가지고 있는 구조적 이상에 따라 차이가 많으며, 증상이 없을 수도 있고 심한 경우는 처음 나타나는 증상이 급사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두근거림(심계항진)

사람들은 자기 자신의 심박동을 인지하지 못하며, 갑자기 놀랐을 때처럼, 부정맥의 종류에 따라 빠르거나 느린 심박동을 본인이 느끼는 것입니다.

 

-맥이 빠짐

부정맥이 갑자기 짧게 나타날 경우 맥박이 한두 번 갑자기 건너뛰거나 빠진 듯한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어지러움, 실신, 피로감

정상적인 심장 박동에 비해 심박출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머리나 몸 전체로 혈액공급이 원활해지지 않으면서 어지러운 느낌을 느끼거나 실신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가 지속적으로 반복되면 피로감을 느끼기도 합니다.

 

-가슴통증, 흉부 불쾌감

가슴의 통증이나 불쾌감을 느낄 수 있으며, 정맥이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등 심장의 혈액순환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에는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자체로 인해 가슴을 심하게 조이는 듯 뻐근한 심한 흉통을 느끼기도 합니다.

 

-호흡곤란

갑자기 숨을 쉬기 힘들어지는 느낌이 들 수 있으며, 실제로 호흡곤란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급사

부정맥이 심하게 나타나서 심장이 제대로 혈액을 내보내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거나 심정지가 발생할 경우 환자가 사망할 수도 있습니다.

 

 

 

 

 

[진단]

 

앞서 설명드린 부정맥의 증상들로 인해 병원을 방문하면 의사는 환자의 병력과 증상의 양상을 청취하고 흉부 청진이나 혈압측정 등 신체검진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부정맥의 가능성을 검토하게 됩니다.

 

-심전도 검사

심장의 전기적 활동은 신체 전반으로 전달되어 가슴 부위와 팔, 다리에 전극을 연결하여 이것을 기록하면 심장의 전기적 활동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심전도 검사입니다. 정상인에서 심전도는 일정한 파형을 그리게 되는데 만일 부정맥이 발생할 경우 심전도의 모양이나 리듬이 바뀌게 되므로 이것을 판독하여 부정맥의 존재 여부와 부정맥의 종류, 원인까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4시간 심전도 검사 (홀터 검사)

소형의 심전도 기계를 환자의 몸에 부착하여 24시간 내내 환자의 심장박동 상태를 기록하는 것입니다. 이 검사는 특히 평상시에는 아무런 증상이 없다가 짧은 시간 동안 갑자기 발생했다가 사라지는 부정맥의 진단에 큰 도움이 됩니다.

 

-전기생리학적 검사

팔이나 다리의 혈관을 통해 전극이 장착된 가는 도관을 심장 내부로 삽입한 상태에서 심장의 다양한 부위에서 전기활동을 측정하여 기록하거나 심장의 다양한 부위에 직접 전기자극을 주어 심장의 반응을 관찰하는 검사입니다. 부정맥이 발생하는 정확한 원인 부위를 찾아 낼 수도 있고 발견된 원인부위를 제거하는 시술을 시행하거나 인공심박동기를 설치하여 부정맥을 치료하기도 합니다.

 

 

 

[치료]

 

부정맥의 치료는 증상이 있고 급사의 가능성이 있는 부정맥에 대하여 실시하게 되는데 의사는 다음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환자에게 가장 도움이 되는 치료방법을 선택하게 됩니다.

 

-항부정맥제

부정맥의 발생을 막는 역할을 하는 약물이며 작용기전에 따라 다음과 같은 종류들이 있습니다.

1) I군 항부정맥제

심장근육이나 전도 섬유의 세포막을 안정시켜서 부정맥 발생을 억제하는 약물

2) II군 항부정맥제

심장의 β교감신경수용체를 차단함으로써 부정맥 발생을 감소시키는 β차단제 계열의 약물

3) III군 항부정맥제

심장의 활동 전위 곡선의 폭을 연장시킴으로써 부정맥 발생을 감소시키는 약물

4) IV군 항부정맥제

심장근육의 세포막에 존재하는 칼슘통로를 차단함으로써 부정맥 발생을 감소시키는 칼슘차단제 계열의 약물

5) 디지탈리스(Digitalis) 제제

심장 조직의 불응기를 연장시키고 전도 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부정맥 발생을 감소시키는 강심제 계열의 약물

 

-인공 심박조율기

심장의 내부에 규칙적인 전기 리듬을 발생시키는 심박조율기(Pacemaker)를 심어서 부정맥을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전기적 심율동 전환

심장 부위의 체표면에 위치한 전극판을 통해 직류전기충격을 줌으로써 부정맥을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부정맥의 종류나 증상에 따라 응급으로 시행하는 경우도 있지만 최근에는 기계를 체내에 매몰하여 필요시에만 작동하는 체내 매몰형 자동 심율동 전환 및 제세동기를 이용하기도 합니다.

 

-도자절제술

이 방법은 혈관 속으로 가는 도관을 삽입하여 부정맥의 원인이 되는 심장 부위에 위치시킨 후 전기충격이나 고주파를 방출하여 조직을 절단하거나 파괴함으로써 부정맥을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수술

이 방법은 항부정맥제, 인공 심박조율기, 도자절제술 등의 방법으로 치료되지 않거나 약물치료를 잘 견뎌내지 못하는 청소년 환자들에서 주로 시행되는 방법으로 수술을 통해 외과적으로 부정맥의 원인 부위를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치료 대상이 되는 부정맥의 종류와 치료방법에 따라서는 수술 후 영구형 심박조율기를 적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참고 [네이버 지식백과] 부정맥 [arrhythmia] (국가 건강정보 포털 의학정보, 국가 건강정보 포털)

 

 

2021.05.28 - [건강/건강상식] - 고지혈증 : 침묵의 살인자

 

2021.05.28 - [건강/건강상식] - 고지혈증에 좋은 것 vs 고지혈증에 나쁜 음식

 

2021.06.01 - [건강/건강상식] - 혈관 속 시한폭탄이라 불리는 <혈전증> : 코로나 백신 부작용

 

2021.06.01 - [건강/건강상식] - 혈관건강에 좋은 음식 : 혈관 나이를 젊게 만드는 비법

 

2021.05.31 - [건강/건강상식] - 혈액암 : 백혈병이라 불리며 허지웅, 유투버 새벽이 투병한 병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