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햄스트링(hamstring)이란?]

 

인체(人體) 허벅지 뒤쪽 부분의 근육과 힘줄로, 엉덩이와 무릎관절을 연결하는 반건양근, 반막양근, 대퇴이두근 등 3개의 근육으로 이뤄져 있으며자동차의 브레이크처럼 동작을 멈추거나 속도 감속 또는 방향을 바꿔주는 역할을 합니다. 

 

 

주로 달리기나 스포츠 선수가 갑자기 방향을 바꾸거나 무리하게 힘을 줄 때 햄스트링에 손상을 입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축구선수의 경우 슈팅 동작을 하다 다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뒤쪽 허벅지 가운데를 누를 때 통증이 있거나, 힘을 준 상태에서 무릎을 굽히거나 무리하게 근육을 펴려고 할 때 통증이 심하다면 햄스트링 부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때는 통증이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얼음찜질을 해주거나 되도록이면 근육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프리미어리그(Premier League)의 적 햄스트링(hamstring)]

 

영국 토트넘에서 뛰고 있는 손흥민 선수는 2020년 9월 27일 영국 런던의 토트넘 홋스퍼 스타디움에서 열린 뉴캐슬 유나이티드와 2020~21 EPL 3라운드 홈경기에서 선발 출전해, 전반전을 소화하고 교체됐는데요. 그 이유는 다름 아닌 햄스트링 부상 때문이었습니다.

 

 

 

또한 해버지로 불리는 박지성 선수 또한 현역 시절, 2011 아시안컵 축구대회를 마치고 소속팀인 잉글랜드 프로축구 프리미어리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 복귀 후 팀 훈련 중 햄스트링 부상으로 최대 4주 동안 결장한적이 있었습니다.

 

 

[햄스트링(hamstring) 부상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올바른 스트레칭 방법]


위의 두 선수의 경우처럼 축구선수의 경우 햄스트링 부상으로 경기 출전을 못하는 경우가 흔한데요. 이런 햄스트링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칭이 중요합니다. 햄스트링이 긴장하고 짧아진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자세를 바꾸거나 가속, 감속 동작을 하면 자칫 큰 부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올바른 스트레칭을 위해서는 먼저 자리에 앉아 한쪽 다리는 양반다리처럼 접고 스트레칭 하고자 하는 다리를 곧게 폅니다. 그 상태로 발목을 몸 쪽으로 30초간 천천히 당겨줍니다. 준비운동으로 심박수를 높이고 숨을 약간 가쁘게 한 뒤 실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운동 후에는 몸을 천천히 식히고, 땀이 난다고 찬물로 샤워해서는 안 됩니다.

 

 

2021.05.27 - [건강/건강상식] - 음성반응과 양성반응 : 질병검사와 항체검사에 따른 의미

 

2021.05.24 - [건강/건강상식] - 대상포진 : 면역력 저하가 부르는 통증의 왕

 

2021.05.26 - [건강/건강상식] - 눈에 좋은 음식 Vs. 눈에 해로운 음식

 

 

 

 

 

 

 

 

 

정의 : 위의 내용물이나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여 발생하는 식도의 염증으로 일반적으로 그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여러 불편감을 총칭하여 말합니다. 식도염은 대부분 이에 속하며 비만, 음주, 흡연 등이 악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원인 : 정상적인 경우 위식도 경계 부위가 닫혀 있어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지 않으나 조절 기능의 약화로 경계 부위가 완전히 닫혀 있지 않아 위의 내용물이나 위산이 식도로 역류함으로써 이에 따른 불편감이 나타납니다. 이와 같은 현상이 지속되는 경우 만성적인 역류가 발생하여 위산에 의해 식도염이 발생합니다.

 

증상 : 위산이 식도로 역류함으로써 가슴쓰림, 가슴의 답답함, 속쓰림, 신트림, 목에 이물질이 걸린 듯한 느낌, 목 쓰림, 목소리 변화, 가슴통증 등이 발생합니다.

 

 

 

진단과 검사 : 가슴쓰림, 산 역류 등의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나며 내시경 검사로 진단이 이루어집니다. 위내시경 검사로 진단하며 위내시경 검사에서 진단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식도로의 위산 역류 여부를 검사하는 식도 산도 검사를 시행해볼 수 있습니다. 식도 산도 검사는 식도 하부에 산도 여부를 측정하는 작은 기계를 삽입하여 24시간 동안 식도내의 산도를 검사함으로써 위산 역류 여부를 진단합니다. 전체 위식도 역류 질환의 50% 정도가 내시경에서 식도염이 관찰됩니다.

 

치료 : 위산 분비 억제제 투여로 치료합니다.

 

 

 

경과와 합병증 : 대개 만성적인 경과를 밟으며 합병증이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지만 수십 년 이상 식도염이 지속되는 경우 식도암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예방방법 : 기름진 음식, 과식, 취침 직전의 음식 섭취, 카페인 음료, 탄산 음료 등은 질병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피하는것이 좋습니다.

 

식이요법 : 역류성 식도염의 위험인자에는 비만, 흡연, 음주 등이 있으며 이 경우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피하는것이 좋습니다. 음식을 먹고 눕는 것이 악화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 식사 후 눕는 것을 피한다 할지라도 증상이 개선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고 합니다.

 

 

참고 [네이버 지식백과] 역류성 식도염 [reflux esophagiti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2021.05.26 - [건강/건강상식] - 위염 : 위가 걸리는 감기

 

2021.05.28 - [건강/건강상식] - 고지혈증 : 침묵의 살인자

 

2021.05.28 - [건강/건강상식] - 고지혈증에 좋은 것 vs 고지혈증에 나쁜 음식

 

2021.05.27 - [건강/건강상식] - 음성반응과 양성반응 : 질병검사와 항체검사에 따른 의미

 

2021.05.27 - [건강/건강상식] - 결핵 : 역사상 가장 많은 생명을 앗아간 감염 질환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