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주가와 관련된 용어들에 대해서 준비했는데요. 회계 공부할 때 배웠던 용어들이 많이 보이는데요. 하나하나 외우기 벅찼던 기억이 나는데, 다시 공부하려니 눈앞이 깜깜하네요. 그럼 포스팅 함께 보시겠습니다.

 

 

 

 

주가지수(stock price index,數) 

 

개별 주가를 정해진 방법에 의해서 얻은 값으로, 증권시장의 상황을 나타내기 위해서 쓰입니다. 이것은 국가의 경제 상태를 보여 주기 때문에 국가 경제지표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요. 한국의 대표적인 주가지수에는 코스피(KOSPI)와 코스닥지수가 있습니다.

 

주가지수가 오르면 주가가 오른 주식이 많으며, 주가지수가 내려가면 주가가 내린 주식이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처럼 주가지수의 변동은 국가의 경제 상태를 대표하여 증권시장, 국가 경제지표에 있어서도 큰 역할을 합니다.

 

 

 


주당순이익(EPS)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당기순이익)을 그 기업이 발행한 총 주식수로 나눈 값인데요.
1주당 이익을 얼마나 창출하였느냐를 나타내는 지표이면서, 1년간 벌어들인 수익에 대한 주주의 몫을 나타내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또한 주가 수익비율(PER) 계산의 기초가 되기도 합니다.

주당순이익이 높을수록 주식의 투자 가치가 높으며, 경영실적 또한 양호하다 뜻으로 볼 수 있겠는데요. 또한 배당을 많이 할 수 있으므로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주당순이익은 당기순이익의 규모가 늘 경우 높아지게 되는데요. 전화사채의 주식전환이나 증자로 인해 주식수가 많아질 경우 낮아지게 됩니다. 주당순이익의 중요성이 근래 들어 높아지게 되었는데요. 그 이유는 바로 기업의 수익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주식시장의 흐름 때문입니다.

 

 

 


주가 순자산 비율(PBR) 


주가와 1주당 순자산을 비교하여 나타낸 비율(PBR = 주가 / 주당 순자산가치)로서, 주가가 순자산에 비해서 1주당 몇 배로 거래되는지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기업의 자산가치를 나타내며, 회사를 청산할 때 주주가 배당받을 수 있는 자산의 가치이므로 주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됩니다.

 

(순자산 :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의 합계로서 대차대조표의 총자본이나 자사에서 부채(유동부채와 고정부채)를 차감한 후의 금액)

 

 

오늘 포스팅한 주가 관련 용어들은 조금 이해하기 힘든 내용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주당순이익(EPS)이나 주가 순자산 비율(PBR)은 주식뿐만 아니라 회계를 공부하는 데에 있어서도 중요한 내용이 되기 때문에 알아두면 좋을 것 같은데요. 투자하려는 회사의 재정상태를 알아보고 싶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내용들인데요. 다음에도 유용한 내용들과 함께 다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2021.04.12 - [금융/주식] - [주식용어] <주식>,< 코스피 vs 코스닥> / 정의와 차이점,상장조건

 

2021.04.12 - [금융/주식] - [주식용어] <공매도> 뜻/순기능과 역기능/재매수/금지 논란/<차입 공매도와 무차입 공매도>

 

2021.04.15 - [금융/주식] - [주식용어] 주식 기본 용어 모음

 

2021.04.28 - [금융/주식] - 공모주(公募株),IPO,공모주 청약이란 무엇인가?

 

2021.04.29 - [금융/주식] - 주식배당(stock dividend)의 모든 것

 

 

 

 

 

 

 

 

요즘 동학개미운동과 서학개미라는 신조어를 심심치 않게 들을 수 있는데요. 어떤 의미가 있는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동학개미운동이란?

 

 

2020년 전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주식시장에 새로생긴 신조어인데요. 코로나19로 인해 외국인 투자자들이 삼성전자를 비롯한 국내주식을 팔면서 주식시장의 하락세가 이어지자 개인투자자들이 이에 맞서서 주식을 적극적으로 매수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또한 외국인들이 판 매물을 힘들게 받아내는 개인투자자들의 모습이 반외세 운동인 동학농민운동과 비슷해 보인다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국내 개인투자자들인 개미들은 코스피지수가 1430선까지 내려갔던 3월 한달동안에만 11조원 넘게 주식을 사들이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국내에서는 코로나19사태로 적극적으로 주식을 매수하는 개인투자자들을 '동학개미'라 부르듯이 외국에도 이를 지칭하는 용어가 새로 생겼는데요. 미국에서는 '로빈후드', 일본에서는 '닌자개미'라는 용어로 지칭한다고 합니다.

 

 

서학개미란? 

국내에서는 주식을 사모으는 '동학개미'들이 있듯이 해외 주식을 직접 사들이는 개인투자자들을 서학개미라고 부릅니다.

 

 

슈퍼개미

개미중에서도 상류층 개미를 뜻합니다.

 

개미털기

세력이 주가를 상승하락을 반복해 개인들이 매도한 물량을 사들인 후 주가를 급등시켜 개미들이 나가떨어지게끔 만드는 행위입니다.

 

털개버세

털리면 개미 버티면 세력이라는 뜻입니다.

 

메뚜기

증시에 인수합병(M&A)이 일상화된 상황에서 상장사 여러 곳을 인수하며 왕성한 모습을 보여주는 주인공을 일컫는 말인데요. 이러한 행위를 메뚜기에 비유한 신조어입니다. 메뚜기들은 단기 매매성으로 증시를 사고나 팔고 계속 해서 가지고 있지만 얼마되지 않아 새로운것을 찾습니다. 또한 이런 메뚜기들은 이전의 명성을 지닌채 계속해서 상장사를 인수하려고 합니다. 

 

 

 

지금까지 주식시장에서 새롭게 불리는 신조어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주식용어들은 어려운것들 투성이인데 비해서 신조어들은 재미있게 배울만한것 같습니다. 치열한 주식시장에서 이번 포스팅은 쉬어가자는 의미에서 준비해봤는데요.재미있게 보셨는지 모르겠습니다. 다음에도 유익한 내용과 재미있는 용어들로 포스팅을 채워나가겠습니다.

 

2021.04.12 - [금융/주식] - [주식용어] <주식>,< 코스피 vs 코스닥> / 정의와 차이점,상장조건

 

2021.04.12 - [금융/주식] - [주식용어] <공매도> 뜻/순기능과 역기능/재매수/금지 논란/<차입 공매도와 무차입 공매도>

 

2021.04.13 - [금융/주식] - [주식용어] 주식시장의 세 가지 안전장치/사이드카,서킷브레이커, VI(변동성 완화장치) /정의와 차이점

 

2021.04.13 - [금융/주식] - [주식용어] 주식시장의 세 가지 안전장치/사이드카,서킷브레이커, VI(변동성 완화장치) /정의와 차이점

 

2021.04.15 - [금융/주식] - [주식용어] 주식 기본 용어 모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