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타 변이 바이러스란?]

 

2020년 10월 인도에서 처음 발견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를 말합니다. 원래는 '인도 변이'로 불렸으나 '델타 변이'로 명칭이 바뀌었으며, 델타 변이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우려 변이’ 중 하나입니다.

 

 

 

 

[델타 변이의 특징]


‘델타 변이’가 빠른 속도로 확산되면서 우려를 낳고 있는데요. 델타 변이는 기존 코로나19 백신으로 방어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다른 변이 바이러스보다 전파 속도가 빠른 데다 더 심각한 증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인도를 비롯해 델타 변이가 확산된 지역의 코로나19 환자들은 복통, 메스꺼움, 구토, 식욕 상실, 청력 상실, 관절 통증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세계적으로 빠른 백신 접종률을 기록하고 있는 영국은 델타 변이에 의한 피해가 속출하자, 당초 2021년 6월 21일로 예정됐던 방역 규제의 전면 해제 시점을 7월 19일로 한 달가량 연기하기도 했습니다.
 

 

 

 

[다양한 변이 바이러스]

 

WHO는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 주요 발생 지역명을 따 영국 변이, 남아공 변이, 브라질 변이, 인도 변이 등으로 불렀었는데요. 그러나 특정 지역과 국가를 차별하는 것을 막기 위해 2021년 5월 31일에 명칭을 다음과 같이 변경하였습니다.

 

영국발 변이 ▷ 알파(α)

남아프리카공화국발 변이 ▷ 베타(β)

브라질발 변이 ▷감마(γ)

인도발 변이 ▷ 델타(δ)

 

우려 단계보다 한 단계 낮은 '관심 변이(Variants of Interest)' 바이러스 6종에 대해서도 명칭을 다음과 같이 변경했습니다.

 

엡실론(ε·B.1.427/B.1.429, 미국에서 발견)

제타(ζ·P.2, 브라질)

에타(η·B.1.525, 나이지리아)

세타(θ·P.3)

이오타(ι·B.1.526, 필리핀)

카파(κ·B.1.617.1, 인도)

 

 

 

 

[우려 변이란?]

 

-변이 바이러스가 기존의 코로나19 바이러스보다 전파성이 증가하거나 중증도에 변화가 있는 경우

-백신과 치료제 등의 유효성 저하가 확인되는 경우

-델타 변이는 2021년 5월 10일 우려 변이로 분류됨.

 

 

 

 

[코로나19 우려 변이 특징]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인체에 침투할 때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이용해 인간의 세포 수용체와 결합하는데요.

 

2020년 9월 영국에서 처음 발견된 알파(α)형은 스파이크 단백질을 이루는 아미노산에 N501Y 변이가 일어난 것으로, 기존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1.5배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20년 5월 남아공에서 발견된 베타(β)형과 2020년 11월 브라질에서 발견된 감마(γ)형에서는 면역을 회피하는 E484K 변이가 확인됐는데, 이는 항체가 생겨도 다시 감염되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델타(δ)형은 남아공과 브라질에서 확인된 E484Q 변이와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발견된 L452R 변이가 함께 나타나는 이중 변이로, 면역 회피력은 물론 높은 감염력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참고 [네이버 지식백과] 델타 변이 바이러스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2021.06.24 - [건강/건강 상식] - 코로나 증상 순서/ 감기와의 차이/ 접종 주의점

 

2021.06.22 - [건강/건강 상식] - 50대 40대 백신접종시기 및 예약

 

2021.06.09 - [건강/건강 상식] - 두드러기 : 부어오름, 가려움 증상의 피부질환/코로나 백신 부작용

 

2021.06.04 - [건강/건강 상식] - 아나필락시스 : 코로나 백신 부작용 및 알레르기 쇼크

 

2021.06.01 - [건강/건강 상식] - 혈관 속 시한폭탄이라 불리는 <혈전증> : 코로나 백신 부작용

 

 

 

 

 

 

 

[코로나 증상 순서 ]

 

 

1. 발열

2. 기침

3. 근육통

4. 구토

5. 설사

 

일반적으로는 발열, 기침, 근육통, 구토, 설사의 순서로 증상이 나타나지만, 이런 증상 외에도 호흡곤란이나 폐렴 등의 호흡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가래나 인후통, 두통, 객혈, 오심,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감기 vs 독감 vs코로나 19의 증상 차이]

 

단순 감기  콧물, 인후염, 열과 두통으로 인한 무기력증

독감         두통, 근육통, 기침, 한기를 동반한 고열

코로나 19  발열 마른기침, 근육통, 피로

 

단순 감기, 독감과 다르게 코로나 19의 가장 큰 차이점은 잠복기가 평균 7~14일로 추정된다는 점입니다.

 

 

 

 

[접종 주의점]

 

접종 전

-접종하는 날 신분증을 반드시 챙기기

-심한 알레르기가 있다면 의사에게 미리 알리기

-아나필락시스와 같은 심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난 경우에는 접종 미루기

-발열 등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있으면 접종을 미루기

 

 

2021.06.04 - [건강/건강 상식] - 아나필락시스 : 코로나 백신 부작용 및 알레르기 쇼크

 

아나필락시스 : 코로나 백신 부작용 및 알레르기 쇼크

현재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코로나 백신 부작용 중의 하나인 아나필락시스란 무엇일까요? 봄철에 찾아오는 무서운 손님 일명 알레르기 쇼크로 유명하기도 한 아나필락시스에 대해서 함

deer-pen.tistory.com

 

 

2021.06.09 - [건강/건강 상식] - 두드러기 : 부어오름, 가려움 증상의 피부질환/코로나 백신 부작용

 

두드러기 : 부어오름, 가려움 증상의 피부질환/코로나 백신 부작용

[정의] 피부 상층에 부분적인 부종으로 생긴 다양한 크기의 팽진(부종)을 말합니다. 다시 말해서,피부, 점막의 혈관의 투과성(물질 분자의 통과나 침입을 허용하는 성질)이 증가되며 일시적으로

deer-pen.tistory.com

 

 



접종 후

-백신을 맞고 난 후 15분에서 30분 동안 병원에서 기다리기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접종 부위 깨끗하게 하기

-3일 정도는 관심을 갖고 이상 증상이 없나 관찰하기 (가벼운 이상 반응은 통상 3일 이내에 없어지기 때문에)

-통증, 부기가 나타날 때 차가운 수건을 접종 부위에 대기

-근육통, 피로감 등 전신 이상증 나타날 때 진통제 복용하기

 

 

 

 

접종 후 심각한 이상 반응이 나타났을 때

-보건소에 신청을 하면 심의를 거쳐 결정됨.

(접종과 이상 반응 사이 인과성이 인정되면 국가가 보상해줌)

 

2021.06.01 - [건강/건강 상식] - 혈관 속 시한폭탄이라 불리는 <혈전증> : 코로나 백신 부작용

 

혈관 속 시한폭탄이라 불리는 <혈전증> : 코로나 백신 부작용

[정의] 혈전이란 혈관 속에서 피가 굳어진 덩어리를 말하며, 혈전증이란 혈전에 의해 혈관이 막혀 발생되는 질환을 말합니다. 혈전증은 혈전색전증이라는 말과 같으며, 우리 몸은 정상 상태에서

deer-pen.tistory.com

 

 

 

참고 뉴스, 질병관리본부

 

2021.06.22 - [건강/건강 상식] - 50대 40대 백신접종시기 및 예약

 

50대 40대 백신접종시기 및 예약

[코로나 백신 접종 현황] 상반기 기준으로 1400만 명 접종 완료하였으며, 당초 목표였던 1300만명을 훌쩍 뛰어넘은 상태입니다. 현재 60대 이상 접종률은 76%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50대(50~60세) 백신

deer-pen.tistory.com

 

2021.06.22 - [건강/건강 상식] - 얀센 백신 부작용 총 정리

 

얀센 백신 부작용 총 정리

[얀센 백신 정보] 제조사: 존슨 앤 존슨 얀센제약 백신 유형: 바이러스 벡터 접종 횟수: 1회 투여 방법: 상완 근육에 주사 얀센 백신에 대한 더욱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 정리해 놓았습니다

deer-pen.tistory.com

 

2021.06.01 - [건강/건강 상식] - 얀센 백신 접종 정보 총정리 : 1회 접종에 백신 접종 완료 가능

 

얀센 백신 접종 정보 총정리 : 1회 접종에 백신 접종 완료 가능

[접종 대상자] 군⋅외교 관련 종사자 13만7000여명, 예비군 53만여명, 민방위 대원 304만여명 등 370만여명. 이 중 선착순으로 100만명만 맞을 수 있으며 30세 이상(1991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만 접종

deer-pen.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