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 심장혈관이 동맥경화증, 혈전, 경련 수축(연축) 등의 원인에 의해 협착되어 심근에 허혈이 생기면서 나타나는 질환을 말합니다.

 

 

협심증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만성) 안정형 협심증 : 동맥경화증 때문에 만성적으로 협착이 되어서 생기는 협심증
-불안정형 협심증 : 죽상경화병변이 파열되어 혈전이 생겨서 급작스럽게 협착이 심해져서 생기는 협심증
-변이형(이형성) 협심증 : 죽상경화병변이 별로 없음에도 불구하고 혈관의 연축에 의해 혈류 장애가 발생하여 초래되는 협심증

 

 

 

 

[원인] : 내피세포가 손상되고 기능이 떨어지면 관상동맥 안을 흘러가던 혈액 속에 포함된 혈소판 및 대식세포가 활성화되면서 만성적으로 동맥경화증이 진행되고, 이에 더하여 동맥경화반이 파열되면 급성으로 혈전증이 잘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협착에 의해 관상동맥의 70% 이상이 막히게 되면 심근의 일부가 허혈 상태에 빠지게 되고 관상동맥의 혈류가 원활하지 않아 흉통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협심증이 생깁니다.

 


다음과 같은 인자들은 이러한 상황을 잘 유발할 수 있는 위험 인자들입니다.

- 고령
- 흡연
- 고혈압: 혈압이 140/90mmHg보다 높거나 항고혈압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
- 당뇨병
- 가족력: 부모형제 중 남자 55세 이하, 여자 65세 이하의 연령에서 허혈성 심장질환을 앓은 경우
- 이 외에 비만, 운동부족 등


한편 혈전증 또는 동맥경화증이 동반되어 생기는 혈관의 협착이 아니라 혈관이 급성으로 연축 및 수축하면서 발생하는 협심증은 따로 변이형 협심증으로 정의하며, 이는 안정형 또는 불안정형 협심증과는 다른 병태생리적 원리에 의해 발생하며, 경과 및 치료 결과가 더 좋습니다.

 

 

 

 

 

[증상] : 대부분 급성 통증 또는 운동이나 활동 시에 발생하는 통증을 호소하는데요. 대개 '가슴이 쥐어짠다', '가슴이 싸한 느낌이 든다'고 호소하며, 주로 가슴의 정중앙 또는 약간 좌측 부위에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 없이도 '명치가 아프다' 또는 '턱끝이 아프다'라고 호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흉통은 호흡곤란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좌측 어깨 또는 좌측 팔의 안쪽으로 퍼지는(방사) 경우도 있습니다. 대개는 운동이나 활동을 할 때, 감정적인 스트레스를 받을 때 유발되는 경우가 많지만 관상동맥의 협착 정도가 아주 심하거나 급성으로 혈전이 생기는 경우에는 휴식 시에도 유발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경우는 특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흉통의 지속 시간은 대개 5분 이내이고, 30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또한 급성 심근경색증과는 달리 니트로글리세린 설하정을 혀 밑에 투여하면 통증이 호전되거나 소실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드물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흉통을 호소하면서 갑작스러운 실신이나 심장마비로 응급실에 내원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대부분 급성으로 광범위한 부위에 걸쳐서 심근 허혈이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경과/합병증] :치료하지 않으면 안정형 협심증은 불안정형 협심증을 거쳐 심근경색증으로 진행될 수 있는데요. 그 이유는 안정형 협심증을 초래하는 동맥경화증이 점점 심해지면서 동맥경화반이 파열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동맥경화증이 심하게 나타난 부위가 꼭 쉽게 파열될 수 있는 동맥경화반을 의미하지는 않기 때문에 불안정형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이 반드시 안정형 협심증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은 아니라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휴식 시 흉통이 있거나 최근에 점점 심해지는 흉통은 불안정형 협심증을 의미하므로 매우 주의를 요하는 증상입니다. 심근경색증으로 발전하게 되는 경우 심장기능이 저하되면서 심부전, 급성 심장발작 등의 위험한 상황이 초래될 수 있기 때문에 협심증의 초기 단계부터 약물치료 및 필요 시 심혈관성형술이나 스텐트 삽입술이 요구됩니다.

 

 

 

 

[예방방법] : 위험인자의 철저한 예방이 필수적이며, 매일 30~40분씩 운동하고 금연하는 건강한 생활습관이 예방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중요한 식습관으로는 저지방식이와 함께 신선한 채소와 과일을 섭취하는 것이 예방에 매우 좋습니다.

 

 

 

 

[식이요법/생활가이드] : 심근경색증, 협심증을 비롯한 허혈성 심질환을 예방하는 것은 그 위험 인자를 관리하는 것입니다. 즉,고혈압과당뇨병의 관리를 철저히 하고 금연하며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고지혈증이나 고콜레스테롤혈증이 발견되면 의사를 방문하여 치료 여부를 판단하도록 합니다. 이러한 위험 인자들은 약물치료뿐만 아니라 반드시 식이요법을 비롯한 생활습관의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생활요법의 기본은 3-3-3 원칙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1) 식이요법은 소식, 채식, 저염식의 3요소가 있으며,
2) 운동요법은 운동 전 3분 예방체조, 한 번에 30분 이상, 일주 일회 3일 이상을 하는 것이 좋으며,
3) 생활철학은 금연, 이상적 체중 유지, 심리적 스트레스 해소의 3요소가 중요합니다.



 

참고 [네이버 지식백과] 

 

 

 

 

2021.07.06 - [건강/코로나19] - 심낭염 : 코로나 백신 부작용 (화이자, 모더나)/ 정의, 원인 등

 

2021.06.25 - [건강/코로나19] - 심근염 : 화이자, 모더나 백 신접 종시 우려/ 심근염 정의, 원인 등

 

2021.06.24 - [건강/코로나19] - 코로나 증상 순서/ 감기와의 차이/ 접종 주의점

 

 

 

 

 

 

 

 

 

 

 

 

 

+ Recent posts